제안서 일반적 구성
또한 경쟁사에 비해 자사의 핵심 역량이 무엇인지, 경쟁
우위 분야가 어떤 것이지 분석해야 한다. 이 과정이 완료되면 제안 방향이 결정된다.
제안서 작성 절차
전략이 수립됐다면 어떤 계획으로 제안서를 작성할 지에 대한 제안 계획을
수립한다. 제안서 접수 일을 기준으로 역산해서 제안 일정을 수립하고 누가 제안서 작성에 참여할지 결정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제안서 작성에 사용할 키워드를 도출한다. 키워드는
제안요청서를 이해하고 자사의 강점을 드러낼 수 있는 용어로 지정한다.
제안서는 전문분야별로 스토리 보드를 작성한 다음에 회사에서 사용하는 표준
양식에 맞도록 작성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분야별로 작성된 제안서를 통합하고 논리 흐름에 맞도록 내용을
재배치하거나 수정한다. 이 때 필요하다면 디자인을 통해 제안서의 품질을 개선한다.
추가제안 활용 방법
제안서에 고객이 요청한 내용을 충실하게 구현하겠다고 작성하는 것은 너무나도
당연하다. 국내에서 발주하는 대부분의 프로젝트들은 보편적인 기술을 사용하기 때문에 일반적이 제안서로
차별화 하기가 어렵다. 이 때 활용하는 것이 바로 추가제안이다. 추가제안은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하나는 고객이 모르고 누락한 부분을 찾아내는 것이다. 이 부분은 프로젝트가 진행되는 과정에서 추가 요구사항으로 반드시 도출되기 때문에 별도의 비용이 들어가지 않는
추가제안이다. 예시로 제시한 스마트 영업지원시스템에서는 로그인과 관리자 기능이 빠져있다. 이 부분을 도출해서 추가제안으로 제시하면 차별화가 가능하다.
다른 하나는 회사 내부에 있는 자원을 활용해서 큰 비용을 들이지 않고서
고객에게 가치를 제공할 수 있는 부분을 찾아내는 것이다. 고객이 요구하지 않은 시큐어 코딩과 웹 취약점
분석을 회사 내부 인력을 활용해서 지원할 수 있다면 다른 제안요청서와 차별이 가능한 포인트라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