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안요청서의 구성

프로젝트 기획서가 경영진을 통과 했다면 이제 프로젝트 발주를 위한 제안요청서를 만들 차례다. 제안요청서는 계약서와 같은 효력을 가지는 공식 문서이기 때문에 기획서보다 신중하게 작성해야 한다.

제안요청서 참고 나라장터

정부와 공공기관에서 발주하는 프로젝트는 대부분 나라장터에 제안요청서를 공개하고 있기 때문에 제안요청서는 나라장터(http://www.g2b.go.kr)에서 쉽게 구할 수 있다. 정부에서 사용하는 제안요청서의 양식은 비슷하지만, 많은 문서들이 참고할 가치가 있는 훌륭한 내용을 담고 있다. 좋은 샘플을 다운로드 받아 제안요청서를 작성하면 초보자가 쉽게 범할 수 있는 실수를 많이 줄일 수 있다.

제안요청서 구성

제안요청서는 발주 기관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지만 크게 6가지 영역으로 구성된다. 첫 째는 사업 개요이다. 프로젝트 기획서에서 사용했던 추진배경, 필요성, 사업 범위를 좀 더 구체화 시켜서 다시 활용할 수 있다. 기대 효과를 포함하는 것은 담당자의 선택에 달려 있다.

두 번째는 현행 업무 분석인데, 이 부분 또한 프로젝트 기획서에 나와 있는 내용을 활용할 수 있다. 다만 회사 내부적인 보안사항이나 영업비밀 등이 포함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세 번째 사업추진 방안 또한 프로젝트 기획서에 나와있는 내용을 구체화 시켜서 사용하면 된다. 프로젝트 기획서를 만드는 시점보다 제안요청서를 만드는 시점에 늦기 때문에 사용할 수 있는 기술과 일정, 비용 등이 다를 수 있다. 가급적이면 제안요청서 작성 시점에 전문 업체에게 최종 견적서를 다시 받아보는 것이 좋다.

용어

내용

발주사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프로젝트를 만들어 업체를 선정하고 비용을 지불하는 회사로써 시스템의 실질적인 주인이 된다.

제안사

프로젝트를 수주하기 위해 제안서를 발주사에게 제출해서 평가 받는 업체

수주사

제안서를 제출한 제안사 중에서 최종적으로 프로젝트를 수주한 업체

프로젝트 관련된 회사 유형

네 번째 제안 요청 내용 부분이다. 제안요청서에서 가중 중요한 부분으로써 얼마나 제안 요청 내용을 구체적으로 잘 만드는 가에 따라 프로젝트 성공이 좌우될 수 있다. 사전에 업무 부서와 충분한 협의를 거쳐 요구사항을 구체화 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프로젝트 기획서 작성 시점과 제안요청서 작성 시점에 담당 부서와 요구 분석을 위한 업무 협의를 몇 차례에 거쳐야만 구체적인 요구사항을 얻어 낼 수 있다. 구체적인 요구사항을 제안요청서에 담는 것은 발주사와 수주사 모두에게 득이 되는 일이다. 발주사는 프로젝트의 성공 가능성을 높일 수 있고, 수주사는 원가 산정을 정확하게 할 수 있어 영업 이익 극대화가 가능하다.

다섯 번째는 제안 안내사항이다. 제안 요청서에는 프로젝트에 업체가 어떻게 입찰해야 하는지, 낙찰자를 어떻게 결정하는지 그리고 제안 평가할 때 평가 위원은 몇 명 들어오고, 제안 발표는 누가 할 것이면 가격 평가 점수와 기술평가 점수의 비중이 어떻게 되는지 구체적으로 나와 있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제안서 작성 안내 부분이 있는데 여기에는 제안서가 어떤 효력을 가지는지, 제안요청서와 제안서의 내용이 서로 상충되는 경우 어디에 있는 내용에 우선순위를 두는지에 대한 안내가 나와 있어야 한다. 그리고 제안서에 들어가야 하는 목차와 제안서를 어떻게 작성해야 하는가에 대한 구체적인 가이드 라인을 제시한다. 


 

댓글 쓰기

Please Select Embedded Mode To Show The Comment System.*

다음 이전